Abandon (음반)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Abandon은 1998년에 발매된 영국의 록 밴드 딥 퍼플의 열여섯 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. 이 앨범은 이언 길런, 로저 글로버, 존 로드, 스티브 모스, 이언 페이스가 작사/작곡했으며, "Any Fule Kno That"을 포함한 12곡이 수록되어 있다. 앨범은 오스트리아에서 25위, 노르웨이에서 6위를 기록하는 등 여러 국가의 차트에 진입했다. 앨범은 딥 퍼플과 로저 글로버가 프로듀싱을 맡았으며, 플로리다주의 그레그 라이크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딥 퍼플의 음반 - Purpendicular
Purpendicular는 1996년에 발매된 딥 퍼플의 열다섯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, 실험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다양한 음악적 시도를 보여주며 여러 국가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. - 딥 퍼플의 음반 - Rapture of the Deep
Rapture of the Deep은 2005년에 발매된 딥 퍼플의 열여덟 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며,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고 여러 차트에서 상위권에 올랐다. - 1998년 음반 - The Love Movement
A Tribe Called Quest의 1998년 앨범 《더 러브 무브먼트》는 미니멀한 R&B와 재즈 사운드를 기반으로 사랑을 테마로 하며, 여러 아티스트의 피처링 참여, 발매 전 그룹 해체 발표, 상업적 성공, 골드 인증, 그래미상 후보 지명, 한국 힙합 영향, 표절 논란 등의 특징을 가진다. - 1998년 음반 - 메구리아우 세카이
메구리아우 세카이는 1998년에 발매된 음반으로, 일본 데뷔 싱글 발매 쇼케이스에서 공개되었으며, 오리콘 주간 차트 최고 37위를 기록했다. - EMI 레코드 음반 - About Face
About Face는 데이비드 길모어의 두 번째 솔로 스튜디오 앨범으로, 핑크 플로이드의 미래가 불확실한 시기에 유명 세션 뮤지션들과 함께 녹음되었으며, 피트 타운젠드가 작사한 곡과 싱글 "Blue Light"가 수록되었다. - EMI 레코드 음반 - Live at Donington
Live at Donington은 1993년에 발매된 아이언 메이든의 라이브 앨범으로, 밴드의 대표곡들을 담고 있으며 아르헨티나에서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.
Abandon (음반) - [음악]에 관한 문서 | |
---|---|
음반 정보 | |
종류 | 스튜디오 음반 |
음악가 | 딥 퍼플 |
![]() | |
발매일 | 1998년 5월 |
녹음 기간 | 1997년 9월 – 1998년 2월 |
장르 | 하드 록, 헤비 메탈 |
길이 | 56분 18초 |
레이블 | EMI 스위스 |
프로듀서 | 딥 퍼플 & 로저 글로버 |
이전 음반 | 퍼pendicular |
이전 음반 발매일 | 1996년 |
다음 음반 | 바나나 |
다음 음반 발매일 | 2003년 |
평가 | |
올뮤직 | Allmusic: |
블로그크리틱스 | 호평 |
Collector's Guide to Heavy Metal | 10/10 |
2. 곡 목록
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모든 곡은 이언 길런, 로저 글로버, 존 로드, 스티브 모스, 이언 페이스가 작사/작곡하였다.
"Any Fule Kno That"은 ''Abandon''의 첫 번째 곡이다.[4] 이언 길런은 이 곡의 벌스(Verse) 부분에서 랩과 유사한 스포큰 워드(Spoken Word) 방식을 취하고 있다. 이 제목은 나이젤 몰스워스 책에서 유행하는 문구이다.[5] 이 곡은 밴드의 마지막 미국 차트 싱글이 되었으며, ''빌보드''의 헤리티지 록 차트에서 25위에 올랐다.[6]
2. 1. 스튜디오 앨범 수록곡
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모든 곡들은 이언 길런, 로저 글로버, 존 로드, 스티브 모스, 이언 페이스가 작사/작곡하였다.번호 | 제목 | 재생 시간 |
---|---|---|
1 | Any Fule Kno That | 4:29 |
2 | Almost Human | 4:26 |
3 | Don't Make Me Happy | 4:56 |
4 | Seventh Heaven | 5:25 |
5 | Watching the Sky | 5:26 |
6 | Fingers to the Bone | 4:47 |
7 | Jack Ruby | 3:48 |
8 | She Was | 4:19 |
9 | Whatsername | 4:26 |
10 | '69 | 4:59 |
11 | Evil Louie | 4:56 |
12 | Bludsucker영어 (리치 블랙모어, 길런, 글로버, 로드, 페이스) | 4:27 |
"Any Fule Kno That"은 ''Abandon''의 첫 번째 곡이다.[4] 보컬리스트 이언 길런은 이 곡의 벌스 부분에서 랩과 유사한 스포큰 워드 방식을 취하고 있다. 이 제목은 나이젤 몰스워스 책에서 유행하는 문구이다.[5] "Any Fule Kno That"은 밴드의 마지막 미국 차트 싱글이 되었으며, ''빌보드''의 헤리티지 록 차트에서 25위에 올랐다.[6]
2. 2. 곡 관련 정보
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, 모든 곡들은 이언 길런, 로저 글로버, 존 로드, 스티브 모스, 이언 페이스가 작사/작곡하였다.번호 | 곡 제목 | 재생 시간 |
---|---|---|
1 | Any Fule Kno That | 4:29 |
2 | Almost Human | 4:26 |
3 | Don't Make Me Happy | 4:56 |
4 | Seventh Heaven | 5:25 |
5 | Watching the Sky | 5:26 |
6 | Fingers to the Bone | 4:47 |
7 | Jack Ruby | 3:48 |
8 | She Was | 4:19 |
9 | Whatsername | 4:26 |
10 | '69 | 4:59 |
11 | Evil Louie | 4:56 |
12 | Bludsucker영어 (리치 블랙모어, 길런, 글로버, 로드, 페이스) | 4:27 |
Abandon영어 음반에는 딥 퍼플 멤버들과 기타 참여 인원, 제작진이 참여했다.
"Any Fule Kno That"은 ''Abandon''의 첫 번째 곡이다.[4] 보컬리스트 이언 길런은 이 곡의 벌스 부분에서 랩과 유사한 스포큰 워드 방식을 취하고 있다. 이 제목은 나이젤 몰스워스 책에서 유행하는 문구이다.[5] "Any Fule Kno That"은 밴드의 마지막 미국 차트 싱글이 되었으며, ''빌보드''의 헤리티지 록 차트에서 25위에 올랐다.[6]
"블러드서커(Bludsucker영어)"는 『딥 퍼플 인 록』(1970년)에 수록된 동명곡(Bloodsucker영어)의 재녹음 버전이다. 이와 같은 구작의 재녹음은 그들의 다른 스튜디오 앨범에서는 찾아볼 수 없으며, 본작만의 특징이었다.
"돈 메이크 미 해피(Don't Make Me Happy영어)"는 실수로 모노럴로 완성되었지만, 수정 없이 그대로 발표되었다. 다른 녹음 버전이 스테레오로 싱글 발표되었다.
3. 참여 인원
3. 1. 딥 퍼플
- 기타: 요안니스 (아트 디렉션, 아트워크)
제작 노트
- 녹음: 1997/1998, 플로리다주 알타몬테 스프링스, 그레그 라이크 스튜디오
- 프로듀서: 딥 퍼플, 로저 글로버
- 엔지니어: 대런 슈나이더
- 추가 엔지니어: 키스 앤드루스
- 믹싱: 플래티넘 포스트 스튜디오, 올랜도, 플로리다, 대런 슈나이더
- 보조 엔지니어: 켄트 허프내글, 섀넌 브래디
- 마스터링: 마스터디스크(Masterdisk), 뉴욕, 그레그 칼비
3. 2. 기타 참여 인원
- 요안니스 - 아트 디렉션, 아트워크
4. 제작 정보
; 딥 퍼플
; 기타
- 요안니스 – 아트 디렉션, 아트워크
; 제작 노트
5. 차트 성적
Abandon영어은 딥 퍼플의 음반으로, 여러 국가의 차트에 진입하며 상업적인 성과를 거두었다. 특히 노르웨이에서 6위, 핀란드에서 14위를 기록하는 등 북유럽 국가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.[10]
5. 1. 주간 차트
차트 (1998년) | 최고 순위 |
---|---|
오스트리아 | 25 |
핀란드 | 14 |
프랑스 | 65 |
독일 | 16 |
헝가리 | 22 |
일본 (오리콘) | 58 |
노르웨이 | 6 |
스코틀랜드 | 87 |
스웨덴 | 32 |
스위스 | 46 |
영국 | 76 |
영국 록/메탈 | 2 |
6. 평가
《Abandon》은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다양한 평가를 받았다. 올뮤직에서는 5점 만점에 3점을 부여했으며[7], 블로그크리틱스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[8]. 컬렉터스 가이드 투 헤비 메탈에서는 10점 만점에 10점을 주었다[9].
7. 투어
딥 퍼플은 《Abandon》 앨범 발매 이후, "A Band On Tour"(어 밴드 온 투어)라는 이름으로 1998년부터 1999년까지 월드 투어를 진행했다.[12] 특히, 1999년 호주 투어는 재결성 후 15년 만에 이루어진 것으로,[12] 1999년 4월 20일 멜버른 공연 실황은 《Total Abandon: Australia '99》라는 라이브 앨범과 DVD로 발매되었다.
참조
[1]
서적
The Deep Purple Family, vol 2
Wymer Publishing
[2]
웹사이트
Abandon
https://www.thehighw[...]
[3]
웹사이트
Abandon
https://www.discogs.[...]
[4]
서적
The Great Rock Discography: Complete Discographies Listing Every Track Recorded by More Than 1,200 Artists
https://books.google[...]
Canongate U.S.
[5]
서적
Smoke on the Water: The Deep Purple Story
https://books.google[...]
ECW Press
[6]
웹사이트
Deep Purple Chart History
https://www.billboar[...]
2023-12-03
[7]
웹사이트
Deep Purple - Abandon review
http://www.allmusic.[...]
All Media Network
2017-02-15
[8]
웹사이트
Music Review: Deep Purple – Abandon
http://blogcritics.o[...]
Blogcritics
2017-02-14
[9]
서적
The Collector's Guide to Heavy Metal: Volume 3: The Nineties
Collector's Guide Publishing
2007-08-01
[10]
서적
Oricon Album Chart Book: Complete Edition 1970–2005
Oricon Entertainment
[11]
Allmusic
[12]
문서
ディープ・パープルとしては、第4期メンバーによる1975年の公演以来。
[13]
웹인용
Deep Purple - Abandon review
http://www.allmusic.[...]
All Media Network
2017-02-15
[14]
웹인용
Music Review: Deep Purple – Abandon
http://blogcritics.o[...]
Blogcritics
2017-02-14
[15]
서적
The Collector's Guide to Heavy Metal: Volume 3: The Nineties
Collector's Guide Publishing
2007-08-01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